빛으로 그림을 그리다. 조명 워크플로우 스태프 회의 프로그램의 연출 의도와 실질적인 제작과정의 연출에 필요한 아이디어와 각각 파트에서 필요한 사항들을 파트별로 조율하기 위해 회의를 하며, 연출, 기술 감독, 음향 감독, 카메라 감독, 세트 디자이너, 조명 디자이너 등이 모여 제작에 대한 토의를 하고, 작품의 연출 의도, 카메라의 위치, 샷의 구성, 피사체의 동선, 세트의 상황 배치 등 자세하게 논의한다. 조명 디자이너는 스태프 회의를 통해 조명 디자인에 필요한 조명 기구의 목록과 그에 따른 예산, 세트 위치 수정, 피사체의 동선 등을 고려하여 구체화한다. 대본 및 내용 분석 연출부로부터 받은 대본과 세트 디자인을 분석하여 상세한 조명 디자인을 생성한다. - 교양 프로그램은 큐시트와 세트 디자인을 받는다. - 드라마는 씬 스케줄표와 대본, 세트.. 2020. 2. 7. 코로나 바이러스 예방 중국발 코로나 바이러스가 우리나라에 상륙한 지 2주가 지나가고 있는데요 각종 매체에서 코로나 바이러스가 젊고 건강한 사람의 목숨을 위협할 정도는 아니라고 발표하고 있지만 되도록 걸리지 않는 것이 최선이 방법이겠죠 코로나바이러스는 사람과 동물에게 소화기계 감염을 유발하는 RNA 바이러스이며, 주로 점막전염, 비말전파로 감염되며 사람에게는 경미한 호흡기 감염을 일으키지만 드물게 치명적일 수 있다. 현재 코로나바이러스 확진 키트를 개발하여 병원에 보급 중에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진정될 기미를 보이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마스크와 손소독를 시중에서 구하기 어려워 대란이 일어나고 있지만 정부와 지자체 등에서 나서서 해결하고 있는 중이다. 코로나 바이러스 예방을 위한 방법을 알아볼까 합니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 2020. 2. 6. 빛으로 그림을 그리다. 연색성 물체의 색은 어떤 광원을 비추느냐에 따라 달라 보일 수 있다. 즉 광원이 달라지면 물체 색도 변화한다는 이야기이다. 물체색은 태양광을 비추었을 때를 기준으로 평가하고, 일반적으로 태양광을 비추었을 때 자연스럽게 나타난다. 이는 태양광의 스펙트럼이 고르게 분포되어 색이 정확하게 표현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태양광이 아닌 인공적인 조명을 사용할 때의 조명은 태양광처럼 일정한 스펙트럼의 분포를 갖는 것이 아니라 어느 부분의 스펙트럼에 집중되는 양상을 보인다. 이러한 조명의 특성 때문에 물체색의 변화를 일으키게 되는데, 이를 광원이 가지고 있는 물체 표면의 색 재현성을 그 광원의 '연색성'이라고 한다. 연색성이란 어떤 광원이 물체의 표면을 비추었을 때 물체의 색이 재현되는 광원의 성질을 말한다. 기준이 되는 인공.. 2020. 2. 6. 빛으로 그림을 그리다. 색온도 색온도는 광원의 색을 절대온도를 이용해 숫자로 표시한 것이다. 붉은색 계통의 광원일수록 색온도가 낮고, 푸른색 계통의 광원일수록 색온도가 높다. 온도는 전통적으로 절대 온도 단위인 켈빈을 사용한다. 색온도는 플랑크 법칙과 빈의 변위법칙과 관련되어 있다. 사람의 눈은 빛을 백색으로 인식하도록 되어있지만 카메라는 사람의 눈처럼 자동적으로 색온도에 따른 변화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색온도에 따른 세팅이 필요하고 거기에 맞추어서 WB(화이트 밸런스)를 맞추어야 한다. 광원은 각기 다른 색온도를 가지고 있어서 광원에 따른 느낌이 다르게 나타난다. 색온도가 낮으면 따듯한 느낌이 들고, 반대로 색온도가 높으면 차가운 느낌이 나게 된다. 색온도는 피사체의 색 재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할로겐 램프는 색 재현이 뛰어.. 2020. 2. 5. 빛으로 그림을 그리다. 필터사용 광원의 밝기를 조절하는 방법으로 여러 가지 필터를 사용하여 밝기 및 빛의 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 필터와 확산시키지 않고 밝기만 떨어뜨리는 ND 필터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확산 필터(diffuser filter)의 사용 스튜디오 조명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필터 중 하나로 빛을 감소시켜주는 효과와 빛을 확산 시켜 부드러운 빛을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스포트라이트나 플러드라이트 등 모든 광원에 사용 가능하다. 다만 확산 필터 사용 시 빛을 원하는 곳에 집중시키거나 원하지 않는 부분에 빛을 차단하기 수월하지 않다. 실크(silk) 필터는 전체적으로 퍼지지 않고, 방향성을 가지고 길게 퍼지기 때문에 드라마 제작 현장에서 주로 많이 사용하는 편이다. 지향성 디퓨저 필터라고.. 2020. 2. 4. 빛으로 그림을 그리다. 빛의 조절 빛의 방향은 피사체 중심에서 볼 때 어떤 각도에서 빛이 들어오는지를 이야기한다. 빛의 방향에 따라서 피사체의 성격과 분위기가 달라질 수 있다. 인물 조명의 빛의 방향은 기본적으로 순광, 측광, 역광, 두광, 하광 등이 있다. 순광 피사체의 정면 카메라의 방향에서 비춰주는 조명으로 불필요한 그림자를 없애주고, 카메라의 위치에 가까워질수록 입체감이 사라지며 부드럽게 보이게 해준다. 보통 키 라이트라고 부르며 인물의 정면이나 카메라 방향에서 비춰준다. 측광 측광은 피사체의 옆면에서 비치는 빛으로 피사체의 윤곽이나 입체감을 나타나게 할 수 있고, 강한 표정이나 느낌을 만들어 낼 수 있다. 피사체의 튀어나온 부분은 밝아져 강조되어 보이고, 음각으로 들어간 부분은 어두워져 튀어나온 부분이 더욱 도드라져 보이게 한다.. 2020. 2. 3. 빛으로 그림을 그리다. 조명 기구 스포트라이트 스포트라이트는 강한 빛을 내어 입체적인 표현을 하기 위한 조명 기구이다. 주로 스튜디오에서는 키 라이트와 백 라이트 등에 사용되고 있고 가장 널리 사용되는 조명 기구 중 하나이다. 스포트라이트의 특징은 앞에 렌즈를 사용하여 강한 빛을 발산한다. 구조는 반사경, 램프, 렌즈, 반 도어, 빛의 강도를 조절하는 빔 조절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반사경은 램프에서 나오는 빛이 사방으로 퍼질때 조명기구 뒷쪽으로 나아가는 빛을 반사시켜 렌즈로 투과시켜 더욱 강한 빛이 나가갈 수 있게 해준다. 램프의 효율을 극대화 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렌즈는 빛을 모으거나 퍼지게 해주는 역할을 해주면 프레즈넬 렌즈와 플라노 콘벡스 렌즈로 나눌수 있다. 프레즈넬 렌즈는 스튜디오 조명에서 주로 많이 쓰이며 빛을 고르게 퍼.. 2020. 2. 2. 빛으로 그림을 그리다. 램프 백열전구 백열전구는 필라멘트 선에 전류를 흘려보내 필라멘트 선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빛을 얻어내는 것으로, 필라멘트의 재료로는 융점(녹는점)이 가장 높은 텅스텐을 사용하고 있다. 백열전구의 텅수텐과 유리는 태양 빛과 다르게 오렌지 빛의 낮은 색온도의 따듯한 빛을 발생시킨다. 단점으로는 열이 많이 발생하고 사용 시간에 따라 색온도가 변하고 전구의 수명이 짧은 것이다. 텅스텐 할로겐 램프 오렌지 빛을 발생시키는 텅스텐 할로겐 램프는 백열전구보다 발전된 형태로 보통 할로겐 램프라고 부르고, 램프의 흑화 현상이 나타나지 않고, 사용시간의 따른 색온도 변화가 없으며, 백열전구에 비해 수명이 몇배나 길다. 할로겐 램프 사용시 램프가 수명을 다하여 교체 할 때 램프가 상당히 고온이므로 반드시 내열장갑을 착용하고 .. 2020. 2. 1.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