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방송조명11

빛으로 그림을 그리다. 연색성 연색성(COLOR RENDERING)이란 광원의 빛이 물체의 색감에 미치는 현상을 말한다. 같은 색의 물체라도 어떤 광원으로 조명을 비추어 보느냐에 따라 물체의 색상이 달라 보이게 된다. 연색성은 다소 생소하게 다가올 수 있는데 한마디로 정리해서 피사체에 광원이 비추었을 때 원래의 색으로 표현되는지 하는 것을 수치화한 것입니다. 색재현율이라고 표현하기도 합니다. 관원의 연색성을 표시하는 대표적인 지수로서 '평균연색평가지수' Ra(general color rendering index) 연색성을 태양광을 100으로 산정하고 태양광에 얼마나 가까운지 100에 가까울수록 색이 잘 표현된다 할 수 있습니다. 태양광 100Ra > 방송조명 95Ra 이상 > 실내 조명이나 기타 여러 가지 조명 등 연색성 수치는 색상.. 2020. 8. 30.
빛으로 그림을 그리다. 조명 워크플로우 스태프 회의 프로그램의 연출 의도와 실질적인 제작과정의 연출에 필요한 아이디어와 각각 파트에서 필요한 사항들을 파트별로 조율하기 위해 회의를 하며, 연출, 기술 감독, 음향 감독, 카메라 감독, 세트 디자이너, 조명 디자이너 등이 모여 제작에 대한 토의를 하고, 작품의 연출 의도, 카메라의 위치, 샷의 구성, 피사체의 동선, 세트의 상황 배치 등 자세하게 논의한다. 조명 디자이너는 스태프 회의를 통해 조명 디자인에 필요한 조명 기구의 목록과 그에 따른 예산, 세트 위치 수정, 피사체의 동선 등을 고려하여 구체화한다. 대본 및 내용 분석 연출부로부터 받은 대본과 세트 디자인을 분석하여 상세한 조명 디자인을 생성한다. - 교양 프로그램은 큐시트와 세트 디자인을 받는다. - 드라마는 씬 스케줄표와 대본, 세트.. 2020. 2. 7.
빛으로 그림을 그리다. 연색성 물체의 색은 어떤 광원을 비추느냐에 따라 달라 보일 수 있다. 즉 광원이 달라지면 물체 색도 변화한다는 이야기이다. 물체색은 태양광을 비추었을 때를 기준으로 평가하고, 일반적으로 태양광을 비추었을 때 자연스럽게 나타난다. 이는 태양광의 스펙트럼이 고르게 분포되어 색이 정확하게 표현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태양광이 아닌 인공적인 조명을 사용할 때의 조명은 태양광처럼 일정한 스펙트럼의 분포를 갖는 것이 아니라 어느 부분의 스펙트럼에 집중되는 양상을 보인다. 이러한 조명의 특성 때문에 물체색의 변화를 일으키게 되는데, 이를 광원이 가지고 있는 물체 표면의 색 재현성을 그 광원의 '연색성'이라고 한다. 연색성이란 어떤 광원이 물체의 표면을 비추었을 때 물체의 색이 재현되는 광원의 성질을 말한다. 기준이 되는 인공.. 2020. 2. 6.
빛으로 그림을 그리다. 색온도 색온도는 광원의 색을 절대온도를 이용해 숫자로 표시한 것이다. 붉은색 계통의 광원일수록 색온도가 낮고, 푸른색 계통의 광원일수록 색온도가 높다. 온도는 전통적으로 절대 온도 단위인 켈빈을 사용한다. 색온도는 플랑크 법칙과 빈의 변위법칙과 관련되어 있다. 사람의 눈은 빛을 백색으로 인식하도록 되어있지만 카메라는 사람의 눈처럼 자동적으로 색온도에 따른 변화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색온도에 따른 세팅이 필요하고 거기에 맞추어서 WB(화이트 밸런스)를 맞추어야 한다. 광원은 각기 다른 색온도를 가지고 있어서 광원에 따른 느낌이 다르게 나타난다. 색온도가 낮으면 따듯한 느낌이 들고, 반대로 색온도가 높으면 차가운 느낌이 나게 된다. 색온도는 피사체의 색 재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할로겐 램프는 색 재현이 뛰어.. 2020. 2.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