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자전거 헬멧 벌금

by fillsogood 2021. 8. 19.
반응형

안녕하세요.

전동 킥보드의 헬멧 착용이 의무화되면서 단속도 시작하고,

공유 전동 킥보드는 매출이 감소하면서

헬멧을 사용할 수 있게 비치되었는 모습을 쉽게 보실 수 있을 거예요.

헬멧 미착용 시 단속되었을 때는 벌금 2만 원이 부과되는데요.

그럼 자전거는?

이런 궁금증이 있으실 거예요.

자전거는 착용이 의무이지만 따로 벌금이 부과되거나 하지는 않아요.

오로지 자신의 안전을 위한 보호장구로 착용하시면 되고요.

 

전동 킥보드를 이용하면 사실 바퀴가 작아서 턱에 걸리거나

노면 진동이 몸으로 그대로 전달되어 많이 불편하신 분들은

전기자전거를 선호하시는 분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어요.

 

PAS방식(페달을 돌릴 때 동력을 보조해주는 방식) 벌금 X

PAS방식은 헬멧을 착용하지 않아도 벌금이 부과되지 않아요.

페달을 굴리면 모터가 보조 동력으로 사용되는 방식이라서

일반 자전거와 같이 분류가 되는 거 같아요.

 

스로틀 방식(페달을 굴리지 않아도 스로틀을 당기면 속도가 올라가는 방식) 벌금 O

스로틀 방식은 헬멧을 꼭 착용하셔야 벌금이 부과되지 않아요.

스로틀을 당기면 속도가 올라가기 때문에 이륜차로 분류되는 거 같아요.

 

헬멧 착용은 벌금의 유무를 떠나서 자신의 안전을 위해서 꼭 착용하는 것이 맞아요.

차량을 이용할 때 안전벨트를 착용하는 것처럼요.

 

전동 킥보드나 전기자전거 모두 아직 제도나 문화적으로 이용하기 불편하고 정착이 덜되었지만,

환경과 편리함을 생각한다면 이용이 점점 늘어날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안전하게 개인형 이동수단을 이용해서 이용자나 보행자 모두 안전하게 이용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가디슈 350만 흥행돌풍 1위  (0) 2021.09.22
퇴직금 수령방법  (0) 2021.09.17
착한운전 마일리지  (0) 2021.07.02
6시 내고향 [셰프의 선물]  (0) 2021.06.11
국민건강보험 피부양자 등록(인터넷 등록)  (0) 2021.06.08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