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원의 밝기를 조절하는 방법으로 여러 가지 필터를 사용하여 밝기 및 빛의 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 필터와 확산시키지 않고 밝기만 떨어뜨리는 ND 필터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확산 필터(diffuser filter)의 사용
스튜디오 조명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필터 중 하나로 빛을 감소시켜주는 효과와 빛을 확산 시켜 부드러운 빛을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스포트라이트나 플러드라이트 등 모든 광원에 사용 가능하다. 다만 확산 필터 사용 시 빛을 원하는 곳에 집중시키거나 원하지 않는 부분에 빛을 차단하기 수월하지 않다.
실크(silk) 필터는 전체적으로 퍼지지 않고, 방향성을 가지고 길게 퍼지기 때문에 드라마 제작 현장에서 주로 많이 사용하는 편이다. 지향성 디퓨저 필터라고 할 수 있다.
필터는 프레임(현장에서 '와꾸'라고 부르기도 함. 일본식 표현)에 끼워서 사용하지만 조명기구의 열로 인해 장시간 사용 시 필터가 손상되므로 반도 어의 집게로 집어서 사용을 권장합니다.
스튜디오에서 많이 사용하는 잼 볼과 윤 전체적으로 빛을 고르게 퍼지게 해주는 효과를 주고, 소프트 박스라고 부르는 일명 우산 라이트는 방향성을 가지고 부드러운 빛을 낼 수 있게 해준다.
반사판(reflector)의 사용
반사판은 빛을 반사시켜 부드러운 빛을 얻을 수 있고, 은박 호일이나 흰색 표면의 판에 빛을 반사시켜 보조 광인사 하광으로 이용하고 있다. 반사판이 다양하기 때문에 용도에 맞는 반사판을 선택하여 사용해야 한다. 작은 'ㄷ'자형 세트 같은 경우에 3방향이나 4방향에서 큰 반사판을 사용하여 조명을 디자인하여 전체적으로 부드러운 빛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ND 필터
중성 회색으로 이루어져 있어 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빛을 스펙트럼 상의 전 파장에 걸쳐 고르게 감소시켜 빛의 양을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확산 필터와 달리 빛을 확산시키지 않아서 확산 필터 사용에 비하여 빛을 컨트롤하기가 편리한 점이 있다.
네트
네트는 그물 망을 가지고 빛의 강도를 떨어뜨린다. 빛을 네트에 통과시키면 광원의 성질은 변하지 않으면서 광량만 떨어진다. 네트 표면의 그물망이 한 겹이면 싱글 두 겹이면 더블이라고 한다.
주로 ENG 드라마 촬영 시 많이 사용된다.
딤머콘솔
딤 먼 콘솔을 이용하여 빛의 강도를 조절한다. 조명기구로 들어가는 전류의 양을 변화시키므로써 빛의 방사 양을 줄이고, 빛의 밝기를 약화시켜 밝기를 조정한다. 필터의 사용보다 손쉽고 간편한 방법이다. 하지만 빛의 밝기를 줄이기 위해 전압을 낮추면 광원의 색온도와 연색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눈으로 직접 봤을 때는 우리의 눈은 자동으로 보정해주는 시각 보정 기능 있기 때문에 알아보기 힘들 수 있지만, 카메라를 통해 재현된 이미지는 색온도의 변화에 민감해서 실제 화면에는 눈으로 보는 것과 큰 차이가 생길 수 있다.
플래그와 블랙커터
플래그는 검은 천으로 되어있어 빛을 차단하여 원하지 않는 곳으로 빛이 새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해 준다. 조명기구의 반도어는 쉽게 사용할 수 있지만 원하지 않는 곳에 직접적으로 빛을 차단하기 위해서 플래그를 사용한다.
플래그는 ENG촬영시 많이 사용하는데 빛을 차단하거나 카메라렌즈로 빛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블랙커터는 직사각형 모양으로 플래그와 비슷하며, 스탠드에 연결할 수 있는 ARM을 이용하여 원하는 각도로 고정하고 원하는 부위만 빛에 노출시키기 위해 여러개를 동시에 사용하기도 한다.
'방송조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빛으로 그림을 그리다. 연색성 (0) | 2020.02.06 |
---|---|
빛으로 그림을 그리다. 색온도 (0) | 2020.02.05 |
빛으로 그림을 그리다. 빛의 조절 (0) | 2020.02.03 |
빛으로 그림을 그리다. 조명 기구 (0) | 2020.02.02 |
빛으로 그림을 그리다. 램프 (0) | 2020.02.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