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방송조명

빛으로 그림을 그리다. 빛의 질

by fillsogood 2020. 1. 31.
반응형

빛의 질에는 2가지 종류가 있는데 '강한 빛'과 '부드러운 빛'이 있다.

조명 디자이너가 피사체에 빛으로 그림을 그리기 위해서 적합한 빛의 질을 선택해야 한다. 이는 목수가 집을 지을 때 알맞은 연장을 사용하는 것과 같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장면의 주제와 성격에 맞게 빛을 선택적으로 사용해야 한다.

 

하드 라이트(강한 빛)

맑은 날의 태양과 같은 직사광선은 빛이 닿는 부분은 밝게 되고, 빛이 없는 부분은 어둡게 되어 콘트라스트가 높게 된다. 그림자는 윤곽과 질감을 형성해서 피사체의 모양을 나타나게 한다. 이처럼 콘트라스트가 높은 빛을 '하드 라이트'라고 한다. 피사체의 가장자리가 선명하고 윤곽도 선명하게 나타나고, 강한 빛은 방향성이 강하기 때문에 피사체를 강조하거나 부각시킬수 있다.

하드 라이트의 특징은 거칠고 공격적이고 극적인 느낌을 표현하기에 적당한 빛이라고 할 수 있다.

스튜디오 조명 기구로는 스포트라이트가 있고, 인물조명의 키라이트나 백라이트 필라이트(확산필터 등을 사용하여 광원을 부드럽게 한다)로 사용한다.

 

소프트 라이트(부드러운 빛)

구름이 있어 흐린날 태양광이 분산되어 부드러운 광선은 강한 그림자를 나타내지 않고, 직사광선과 다르게 피사체의 그림자가 강하게 생기지 않아 부드러운 느낌을 준다.

지향성이 약하고 광원이 커지면 빛이 산란되어 강한그림자를 부드럽게 만들어 주고, 피사체의 질감을 강하게 표현되어지지 않게 하며, 콘트라스트가 낮아 진다. 이런 부드러운 빛을 '소프트 라이트'라고 한다.

스튜디오 조명 기구로는 크게 베이스라이트가 있고, 렌즈가 없이 빛이 퍼지는 특징이 있고, 스포트라이트를 리플렉터에 반사시켜 부드러운 광원을 얻기도 한다. 보통 베이스 라이트는 전체적으로 세트를 밝혀 주거나 필라이트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스포트라이트는 점 광원의 형태를 가지고 있고, 소프트 라이트는 면 광원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스포트라이트도 확산필터를 사용하고 거리를 가깝게 사용하면 소프트 라이트처럼 사용할 수 있고, 소프트라이트도 멀게 점광원 처럼 사용할수 있겠지만 실질적으로 후자는 사용에 제약이 많다.

 

최근들어 LED라이트가 발달과 카메라의 광각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스튜디오 조명의 조도를 너무 높게 사용하지 않게 되면서 점점 부드러운 빛을 많이 사용하여 디테일하게 조명을 연출하는 것이 가능하며 어떻게 밸런스와 거리 방향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