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아쇠 수지 증후군은 손가락을 구부릴 때 총을 쏘는 것과 같은 몸짓이나 비슷한 소리가 난다고 해서 붙여진 이 질환은 손가락을 펼 때 방아쇠를 당기는 듯한 저항감이 느껴지기 때문에 '방아쇠 수지'라고 불리고 있습니다.
증상
방아쇠 수지가 발생하면, 손가락이 잘 펴지지 않고, 손가락을 억지로 펴면 잘 굽혀지지 않는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손바닥과 손가락이 연결되는 관절 부위에 통증이 발생하고 그 부위가 부어오르고 열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힘줄에 염증이 생기면 손가락을 펴거나 구부리려고 할 때 걸리는 듯한 느낌이 들고, 권총의 방아쇠를 당기는 것처럼 손가락이 튕기듯 펴지기도 합니다.
방아쇠 수지 증후군은 40세 이상의 성인에게 많이 발생했지만 최근 들어 젊은 20-30대 성인에서도 많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증상이 심해지면 손가락이 구브러진 상태로 고정되기도 하며, 아침에 기상했을 때 증상이 심하게 나타났다가 시간이 경과하며 증상이 완화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손가락을 꼭 쥘 때 통증이 발생하고, 움직이기 힘들어 집니다. 증상이 심해지게 되면 힘줄의 중간 부분이 두꺼워지면서 힘줄이 지나가는 통로에 걸리며, 방아쇠를 당기는 것처럼 걸렸다가 갑자기 펴지는 증상이 나타납니다.
원인 및 진단
방아쇠 수지 증후군의 정확한 원인은 다양하고 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가족력이나 염색체 이상 등으로 발생하는 경우도 있고, 퇴행성 변화에 의해서 발생하기도 합니다. 또는 오랫동안 긴장 상태로 손가락을 구부린 채로 일하는 사람, 즉 과도한 피로 누적으로 골프나 운전대 등을 장시간 손에 쥐는 작업을 많이 하는 사람에게 많이 발생합니다.
방아쇠 수지 증후군의 뚜렷한 증상만으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손가락 밑부분에 통증이 있고, 손가락을 쥐고 펼 때 미세하게 힘줄이 걸리는 느낌이 있기 때문에 초음파 검사를 통해 힘줄이 부어 있거나 주위에 염증이 있는지를 확인합니다.
치료
방아쇠 수지 증후군의 치료 방법은 증상의 경중에 따라 비수술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로 나눌수 있습니다.
- 비수술적 치료법
증상이 심하지 않으면 손가락을 움직이지 않고 안정을 취하며, 취침시 손가락 잠김과 구부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보조기를 착용합니다.
약물 치료와 물리 치료를 병행하여 치료하고, 증상이 더 심해지면 스테로이드 주사를 염증 부위에 놓아 염증을 가라앉힙니다.
스테로이드 주사 치료 등을 받고 증상이 호전 되지 않는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 수술적 치료법
손바닥에 조금 절개하고 힘줄이 지나가는 통로를 열어 주는 간단한 수술입니다. 수술을 하면 힘줄이 지나는 통로에 마찰이 사라지면서 염증도 사라지게 됩니다.
방아쇠 수지 증후군의 증상이 심하지 않을 경우 아침에 통증이 나타나다가 오후 즈음에 사라지는 경우가 많아서 방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랫동안 방치하게 되면 수술 치료를 받아도 통증이 남을 수 있습니다.
증상이 나타나게 되면 정형외과 진료를 통해 빠르게 회복 할 수 있습니다.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관계 (0) | 2021.10.04 |
---|---|
코로나19 부스터샷 접종 시작 (0) | 2021.09.27 |
마이크로바이옴 식단으로 면역력을 올리세요. (0) | 2021.09.26 |
독감예방접종 시기 지금 확인하세요 (0) | 2021.09.26 |
코로나 백신 종류 (0) | 2021.06.02 |
댓글